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혹은 어떤 일을 하다가 어느 순간 머리가 멍하고 맑지 않은 증상이 나타난 적이 있으신가요?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질 수도 있지만, 만성적으로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도 있는데요.
이런 상태를 '브레인 포그'라 부르기도 하는데요. 브레인 포그를 신경과에서는 집중력 감소와 기억력 저하, 우울감, 피로를 동반하는 복합 상태로 인지능력의 저하가 심한 상태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RRGhO/btrLku2Pwru/sKjNbwQEmtFrx1CazAlg40/img.jpg)
브레인 포그란?
브레인 포그는 정확한 진단명이라기보다는 안개가 낀 것처럼 머리가 멍하고 맑지 않은 증상을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증상별 특성에 따라 신경계와 혈액순환 장애의 문제로 구별하고, 그에 따라서 적합한 진료와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최근에 유행하는 코로나 19의 대표적인 후유증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으며, 장기간 방치할 경우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VeB96/btrLhXEQ3ew/gOy5R8pVe8pk4P3R3UCxbk/img.jpg)
브레인 포그 원인
머리가 멍하지 않고 맑지 않은 증상을 나타내는 브레인 포그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면부족
- 만성피로
- 스트레스
- 무리한 다이어트
- 전자기기 사용
- 영양 불균형
- 기립성 저혈압
- 뇌심혈관질환
- 혈액순환장애
- 호르몬 변화
![](https://blog.kakaocdn.net/dn/cf4NsC/btrLqXC6BSM/gSftPvwwey4E2ilmiweXKK/img.jpg)
브레인 포그는 다양한 원인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요. 자율신경계, 면역시스템, 호르몬 변화 등을 유발하는 모든 원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특히 전자기기 사용, 스트레스, 수면부족, 만성피로, 무리한 다이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 갱년기로 인해 불규칙한 생리주기나 안면홍조, 수면장애, 스트레스 등의 증상을 겪게 되지만, 일부 갱년기 여성들에게 브레인 포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혈액순환장애와 뇌심혈관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도 이런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뇌심혈관질환에 의해 브레인 포그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어지러움, 언어장애,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병원을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RXJd/btrLhOIeltb/Yzz3HfjGIsKIeKzW0UFRq0/img.jpg)
브레인 포그 자가진단
최근 방영된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에서 브레인 포그에 대해서 언급했는데요. 그때 브레인 포그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보여주었습니다. 절대적인 기준으로 나눌 수는 없지만, 증상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대화 중 특정 단어가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다.
- 눈으로 무언가를 읽을 때 집중이 되지 않는다.
- 두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기가 어렵다.
- 소지품의 위치가 기억나지 않을 때가 있다.
- 발음이 어눌하다는 지적을 받은 적이 있다.
- 뒷목이 자주 뭉치고 두통에 시달린다.
- 잠을 못 자다가 갑자기 잠이 쏟아진다.
![](https://blog.kakaocdn.net/dn/bmSWKx/btrLkuIxA4D/KSkvQ1JzhEt2xkjiGWsuw0/img.jpg)
브레인 포그 예방법
- 수면습관 개선
- 식단관리
- 스트레스 관리
- 꾸준한 운동
머리가 멍하고 맑지 않은 증상 브레인 포그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이고 적절한 수면과 휴식, 균형 잡힌 영양 식단, 금주, 금연 등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스트레스가 쌓이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나만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꾸준한 운동을 하게 되면 스트레스를 해소, 혈액순환, 그리고 뇌세포를 활성화시켜 뇌혈관을 건강하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흔히 '멍' 때린다고 하는 브레인 포그 증상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평소 건강관리를 통해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런 증상이 길어진다면 반드시 병원을 내원하여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