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결석은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는 불편함을 주는데요. 이 편도결석은 한 번도 안 걸려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걸려본 사람은 많지 않은데요. 그만큼 편도결석은 재발이 쉽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편도결석이 한번 생기면 그 안에 틈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편도에 있는 작은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나 세균등이 뭉치면서 알갱이가 생기게 되는데요. 편도결석이 생기게 되면, 간혹 재채기를 하게 되면 노란 알갱이가 튀어나오게 되는데 이게 편도결석입니다. 편도결석은 음식물 찌꺼기나 세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냄새도 많이 나며, 일반 결석과는 다르게 만지면 으스러질 정도로 부드럽습니다.
편도결석 생기는 원인?
편도결석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주요 원인은 두 가지로 꼽을 수 있습니다.
만성 편도염
편도염에 자주 걸리는 사람들에게 유독 편도결석이 흔하게 생기는데요. 그 이유는 편도염이 걸리면 편도가 부었다가 가라앉았다가를 반복하면서 편도에 구멍이 커지게 되어 그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기 쉽기 때문에 편도결석이 생기게 됩니다.
비염, 부비동염, 그 외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가 있으며 편도에 세균증식이 쉬워 편도결석이 잘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양치를 제때 하지 않거나 입안에 침이 부족하면 음식물을 충분히 씻어내기가 어려워 세균번식이 활발해지는데, 이로 인햇 편도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 증상
편도결석이 있다고 해서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목 이물감이 나타날 수 있으며, 편도결석이 편도에 오래 끼어있을수록 지독한 악취를 풍기게 됩니다. 또한 양치를 하거나 재채기를 하면 입에서 작고 동그란 알갱이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는 편도결석일 확률이 높습니다.
편도결석 혼자서 제거해도 될까?
편도결석은 건강상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꼭 제거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을 하면서 구치나 이물감등으로 불편함을 느껴 제거를 하고 싶어 합니다.
편도결석을 제거하고 싶다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해서 기계로 빨아들이는 것이 안전한 방법인데요. 간혹 인터넷을 찾아보면 손가락이나 면봉, 핀셋등을 이용하여 셀프로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영상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는 바람직한 방법이 아닙니다.
편도결석을 혼자서 제거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편도에 상처가 생겨 염증을 일으키거나 편도 구멍이 커져서 오히려 상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혼자서 편도결석을 제거했다고 하더라도 이후에 더 큰 결석이 생기기 쉬워집니다.
그래서 집에서 혼자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것보다는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소독된 의료 도구를 사용해서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입니다.
편도결석 관리하는 방법
편도결석은 제거하더라도 재발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방법은 평소에 관리를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편도결석의 경우 양치를 하거나 재채기를 통해서 자연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요.
만약 편도결석이 나왔다면 편도에 더 이상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관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는 특별히 어려운 게 아니라 양치를 할 때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입안 구석구석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혀 안쪽은 세균이 살기 좋은 장소이므로 꼼꼼하게 닦아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양치 후에는 가글액이나 소금물을 이용해서 가글을 해주는 것이 좋은데, 가글을 통해서 편도 부분까지 꼼꼼하게 씻어주면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