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사이에 날씨가 많이 쌀쌀해졌는데요. 이제 가을은 없어지고, 여름에서 바로 겨울로 넘어오는 느낌이에요. 이렇게 갑자기 날씨가 변할수록 감기를 조심해야 하는데요. 최근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면서 독감 환자도 많이 늘었다는 뉴스를 봤어요.
바이러스에 이어서 독감까지 겹치니 정말 조심해야 하는데요. 이럴 때일수록 실내 적정온도를 유지시켜줘야 해요. 보통 실내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감기에 더 쉽게 걸릴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럼 실내 적정온도는 얼마이고, 겨울철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겨울철 실내적정온도
겨울철 실내적정온도는 18~20˚C이며, 적정 습도는 40~60%라고 합니다. 겨울철 실내온도가 18~20˚C라고 하면 너무 추운 것이 아닌지 생각을 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건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 정한 것이라고 하며, 대다수의 나라에서도 실내온도를 18~20˚C를 권장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실내적정온도를 정한 데에는 이유가 있는데요. 겨울철 실내온도가 너무 높게 되면, 외부 추운 날씨에 대해 신체 적응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면역력도 떨어지고 감기나 호흡기 질환에 걸릴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기온이 낮을수록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되어 자연적으로 칼로리 소모를 하게 되는데요. 실내온도가 너무 높게 되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사용이 줄어들면서 칼로리 소모가 줄어들게 되어 비만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습도 유지
겨울철에는 실내온도뿐만 아니라 습도 조절에도 신경을 써야 하는데요. 겨울철 실내 습도가 너무 건조하게 되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기관지, 호흡기,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비염, 감기, 안구건조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내 적정 습도를 유지시켜주는 것이 좋은데요. 실내 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빨래, 젖은 수건, 가습기 등을 이용하면 보다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난방비 줄이는 방법
겨울에 나오는 난방비로 인해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겨울철 난방비를 줄이는 방법은 어렵지 않은데요. 다들 알고 계시는 내용들이 많으실 텐데요. 하나씩 알아보도록 할게요.
1. 외풍 차단하기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밖에서 유입되는 외풍을 막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외풍을 막는 방법은 문풍지를 이용해서 창문 틈새를 막아주고, 베란다 창문에 뽁뽁이를 붙여 세어 들어오는 바람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또한 방풍비닐을 사용해서 베란다나 테라스를 막아주면, 보다 효율적을 외풍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외풍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겨울철 실내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난방비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2. 내복 입기
날씨가 추운 겨울 보일러 온도를 올리는 것보다 내복을 입으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데요. 조사에 따르면 내복을 입었을 때 체감온도가 약 3˚C가량 올라가게 되고, 이로 인해 실내온도를 3˚C가량 낮추게 되면 난방비를 약 20% 정도 절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내복뿐만 아니라 가벼운 외투나 조끼, 양말 등을 활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며, 특히 스카프나 손수건, 목티 등으로 목을 따뜻하게 감싸주면 체감온도를 최대 5˚C까지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건 우리 신체에서 목 부위가 다른 신체부위에 비해서 추위에 더 민감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3. 보일러 사용
겨울철 난방 비중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보일러인데요. 보일러의 경우 한번 껐다 켰다 하면 에너지 손실이 엄청나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적정온도로 유지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장시간 외출을 할 때는 외출모드로 설정을 해주면 자연스럽게 집안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날씨가 춥다고 보일러나 난방기구를 틀면, 자연적으로 습도가 낮아지게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습도가 40%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바이러스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60% 이상이면 곰팡이가 서식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적정 습도를 유지해주면 실내가 건조해지지 않게 도와주는 것은 물론 실내의 열을 좀 더 오래 간직할 수 있어서 난방효과를 높여주는데 효율적이라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