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은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인데요. 생후 6개월에서 만 3세 사이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며, 성인들의 경우에도 알레르기나 비염등이 있거나 감기증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중이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이염이 이처럼 흔한 질환이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지속적으로 발생해 만성 중이염이 된다면 청력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뇌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럼 귀 통증 원인이 되는 중이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할까요.
중이염 원인과 종류
중이염은 크게 급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급성 중이염
감기 합병증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코와 귀를 연결하고 있는 부분이 짧기 때문에 급성 중이염이 발생하기 쉬운데요. 감기에 걸린 아이들이 코를 세게 풀거나 들이마시면서 귀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을 타고 콧물세균이 중이로 흘러 들어가면서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만약 급성 중이염 증상이 나타났을 때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치료도중 상태가 호전되었다 해서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재발하게 되어 만성 중이염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급성 중이염의 증상으로는 통증과 함께 귀에 진물 같은 분비물이 발생하며, 발열, 피로감, 식욕부진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영아의 경우 고열, 구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분유나 젖을 먹을 때 귀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통증이 더 심해서 먹다가 보채며, 더 안 먹으려 할 수 있습니다.
만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을 제때 치료를 하지 못하고 방치하게 되면 만성 중이염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만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완치되었다가 바로 재발하는 경우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급성 중이염에서 이행한 삼출성 중이염을 치료하지 못해 생기기도 합니다.
대부분 만성 중이염의 경우 수술을 받아야 완치할 수 있으며, 약물 치료만으로는 고름이 흐르는 것을 당분간 방지하는 보존적 치료는 가능하지만, 약물 치료를 멈추거나 관리를 소홀히 하면 다시 재발하기 때문에 완치까지는 힘듭니다.
만성 중이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귀에 고름이 흐르는 것으로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또한 합병증으로 중이를 지나는 안면 신경 마비가 생기기도 하며, 중이를 둘러싼 뼈를 지나 염증이 퍼지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내이로 퍼져 내이염으로 청력을 상실하거나 심한 어지럼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뇌로 퍼지는 경우 뇌막염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삼출성 중이염
급성 중이염 환자의 10~20% 정도는 중에 찬 액체나 고름이 빠지지 않는 삼출성 중이염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요. 삼출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처럼 통증이나 발열등의 증상은 없으니 난청, 이명 등이 생기며 고막변성이나 청력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서 주의를 해야 합니다.
중이염 관심을 가져야 한다
소아들에게 흔하게 일어나는 중이염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성장에 크게 영향이 없어 커가면서 자연스레 빈도수가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중이염으로 인해 난청이 왔다면 언어발달장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이염에 한 번이라도 걸렸다면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때, 부모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아이가 불러도 잘 못 듣거나, TV 볼륨을 높인다든지, 두통과 함께 귀의 통증을 호소한다면 중이염을 의심해보고 이비인후과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중이염 예방
중이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면역력을 강화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면역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과 꾸준한 운동, 그리고 야외활동으로 햇볕을 쐬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환절기에는 따뜻한 수분섭취로 건조해지기 쉬운 호흡기 계통을 촉촉하게 해주는 것이 좋으며, 샤워나 목욕 후에 혹은 귀가 간지럽다고 면봉을 사용하게 되면 외이도 안에 상처가 발생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귀 안쪽에는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