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부정맥 원인 치료방법 알아봅시다

by 뮤디스토리 2023. 7. 11.
반응형

일상생활 도중 갑자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맥박이 빨라지는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 일반적이라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흥분을 하게 되면, 맥박이 빨라지게 됩니다. 또한 격한 운동을 하고 난 뒤에도 경험해 볼 수 있는데요. 보통 이런 경우는 정상입니다.

 

그런데 아무 행동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두근거리거나 맥박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이건 부정맥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부정맥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한 번쯤 경험하게 되지만,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부정맥은 무엇인가?

 

심장은 혈액을 통해 산소 및 영양소를 몸 구석구석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때 심장 수축은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심장근육 세포에 전기 자극이 전달되어야 일어날 수 있는데, 만약 심장에서 전기신호의 생성이나 전달에 이상이 생기거나 비정상적인 전기신호가 발생할 경우 부정맥이 일어납니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심장박동수는 분당 60~100회씩 뛰며, 하루에 약 10만 번 심장박동을 합니다. 그런데 아무 이유 없이 심장박동수가 분당 50회 미만이거나 100회 이상 뛴다면 부정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박동이 규칙적이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뛴다면 그 역시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부정맥 원인

 

  • 술, 담배, 카페인
  • 선천적 심장병 (선천정 심장이상)
  • 고혈압, 심근경색, 심근병증 등 기저질환
  • 갑상선 질환
  • 비만
  • 수면 무호흡증
  • 유전적 부정맥
  • 노화

부정맥은 심장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부정맥이 생기는 원인은 굳이 심장에 문제가 없더라도 각종 원인으로 인해 심장의 전기적 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면 부적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극도의 흥분상태나 스트레스등을 받게 되거나 격한 운동을 하게 되면, 심박수가 올라가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요. 이건 정상적인 심장활동이라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아무런 이유가 없이 심장박동수에 문제가 생긴다면 부정맥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부정맥 종류

 

  • 빈맥 (심박수 분당 60회 미만)
  • 서맥 ( 심박수 분당 100회 이상)
  • 기외수축 (불규칙적인 심박수)

부정맥은 크게 빈맥, 서맥, 기외수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래서 평소에 부정맥이 있다면 분당 심박수를 체크하면서 부정맥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맥 증상

 

  • 가슴 두근거림
  • 어지러움, 현기증, 피로감
  • 흉통
  • 호흡곤란
  • 실신, 심장마비

부정맥이라 하더라도 부정맥의 유형과 중증도에 따라서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두근거림, 현기증, 흉통, 피로감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지나갈 때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부정맥을 생각해 볼 수 없어서 오히려 더 위험한데요. 그래서 부정맥을 침묵의 암살자라 부르기도 하는데요. 부정맥이 심해지면 호흡곤란, 실신, 심정지 상태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정기검진을 통해서 심장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맥 자가진단

 

부정맥은 간단한 방법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는데요. 바로 심장이나 손목의 맥박을 짚은 상태로 심박수를 확인하면 되는데요. 맥박을 짚은 상태로 약 10초간 맥박수를 세고, 거기에 6을 곱하면 1분간의 맥박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1분 타이머를 맞춰놓고, 심박수를 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만약 어지러움이 느껴질 때 맥박이 40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지, 가슴 두근거림이 있을 때 150회 이상 올라가지 않는지, 맥박이 3초 이상 멈추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은 스마트 워치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내 몸상태를 체크할 수 있어서 혹시라도 부정맥이 의심된다면 스마트 워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정맥은 발견이 어렵고, 시술 이후에도 재발위험이 많은 질환이라 평소 관리가 중요합니다.

 

 

부정맥 치료방법

 

  • 원인 교정 - 음주, 흡연 카페인, 약물 복용 등 원인 제거
  • 약물치료 -  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 항부정맥제
  • 제세동기,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 치료
  • 인공 심장 박동기 삽입 치료
  • 전극도자 절제술
  • 외과적 절제술
  •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 부정맥으로 인한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는 치료

 

부정맥은 종류나 중증도에 따라서 치료법이 나뉘게 되는데요. 보통 원인제거와 약물치료등으로 치료를 먼저 해보지만, 부정맥의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약물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할 수도 있어요.

 

그러면 부정맥 발생 부위를 제거하는 절제술을 하거나 심박수를 조절하는 기계를 인공적으로 신체에 삽입하여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부정맥을 예방하려면

 

  • 금주, 금연, 카페인 줄이기, 약물복용 중단
  • 유산소 운동
  • 수면 질 향상, 스트레스 줄이기

부정맥이 생기는 원인은 다양해서 완벽하게 예방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부정맥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해 주면 부정맥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걷기, 달리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심장을 튼튼하게 만들어 줄 수 있어 추천을 하며, 몸의 근육을 풀어주는 체조나 요가 등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몸을 망칠 수 있으니 자신의 몸에 맞는 운동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