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섬유근육통은 특별한 이유도 없이 몸의 이곳저곳에 통증이 발생하는 만성질환을 이야기하는데요. 30~50대 여성들에게 주로 발생하며, 어깨, 목, 등에서 시작해서 전신으로 퍼져나가는 질환입니다. 섬유근육통 원인,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섬유근육통이란?
섬유근육통은 신체 여러 부위의 통증, 수면장애, 피로, 인지장애등 특별한 이유 없이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계속되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남성보다는 여성 발생 비율이 1:9로 높게 나타납니다.
섬유근육통 원인
- 섬유근육통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원인과 후천적인 환경요인에 의해 나타난다고 합니다.
- 만약 부모, 형제, 자매 중에 섬유근육통 질환에 걸렸을 경우 섬유근육통에 걸릴 확률이 13배나 높아진다고 합니다.
- 후천적 요인으로는 자동차 사고와 같은 외상, 바이러스 감염, 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같은 호르몬 이상, 극심한 스트레스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증상
- 많은 환자들이 목, 어깨, 등뼈의 통증을 호소하며, 손, 발, 관절등 신체 어디서든 통증을 느낄 수 있는데, 병원에 가서 물어보면, 어디가 아픈지 콕 집어서 말하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 평소 잠을 자고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고,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수면 장애를 겪을 수 있으며, 자고 일어난 아침 몸이 경직되거나 관절이 뻣뻣한데,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호전됩니다.
- 약 30%에서는 우울증, 신경과민, 집중력 저하등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나타나며, 복통, 편두통, 변비와 설사도 흔히 나타납니다.
섬유근육통 치료
- 섬유근육통은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아직 완치가 쉽지 않습니다.
- 치료는 운동, 수면, 약물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운동을 통하여 심혈관계 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칭, 요가, 마사지, 자세교정과 같은 물리치료와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은데요. 처음에는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지만, 꾸준히 하면 조금씩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약물치료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 진통제, 항우울제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잠자리에 들기 전에 복용하며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조금씩 복용량을 늘려갈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은 환자에 따라 예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데요. 누군가는 예후가 매우 좋은 환자가 있는 반면, 종합병원 혹은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나서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고, 오히려 나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섬유근육통 예방
- 섬유근육통은 예방법이 따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 하지만 평소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수면 질 향상, 균형 잡힌 식단등을 통해서 면역력을 올리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