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요로결석 증상 3대 통증으로 알려진

by 뮤디스토리 2023. 1. 11.
반응형

요로결석은 땀을 많이 흘려 체내 수분이 감소하는 여름철에 많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지만, 겨울철에도 수분섭취가 부족하거나 활동량이 많지 않으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요로결석이 한번 생기면 재발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하는데요. 이런 요로결석을 방지하는 방법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요로결석이란?


요로결석은 소변이 지나다니는 신장, 요도, 방광 등 요로에 결석이 생성되는 질환인데요. 대부분 신장에서 만들어져서 요도, 방광등에서 발견되는데요. 이 결석이 요로에 생기게 되면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심한 통증과 감염등을 일으키며, 신장기능저하, 요로감염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흔히 사람 잡는 요로결석이라고 해서 산통, 급성 치수염과 함께 3대 통증으로 꼽히는 질환으로 참기 힘든 옆구리 통증을 동반한다고 합니다.

 

 

요로결석 원인


요로결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하나는 식습관이고, 하나는 수분부족입니다.

 

식습관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요로결석이 생길 수 있는데요. 짠 음식을 많이 먹으면 신장에서 소변으로 나트륨 배설이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나트륨과 함께 칼슘도 함께 배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칼슘이 결석으로 변하기 쉽습니다.

 

특히 라면이나 어묵국물등 나트륨이 많은 따뜻한 국물등을 조심해야 하며,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국이나 찌개에 밥을 말아먹는데, 이렇게 되면 나트륨 섭취가 많아져 요로결석에 취약하게 됩니다.

 

수분부족

수분섭취가 줄어들게 되면, 요석결정이 소변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소변이 농축되면서 물은 빠져나가고 요석결정 생산이 촉진되어 요로결석이 생기기 쉽습니다.

 

 

요로결석 증상


요로결석이 '3대 통증'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극심한 통증 때문입니다. 요로결석이 이렇게 통증이 심한 이유를 살펴보면, 요로에 생긴 결정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둥그스름한 형태가 아니라 깨진 칼날이 뭉쳐있는 모습을 생각하면 되는데요.

 

이 때문에 요로결석을 경험한 사람들은 옆구리를 불로 달군 쇠꼬챙이로 쑤시는 느낌이다라고 표현합니다. 특히 요로결석이 무서운 이유는 10중 1명꼴로 발생하며, 한번 생기면 치료 후에도 재발할 확률이 높다는 것인데, 치료 후 1년 이내 7%가 재발하며, 10년 이내에 50%의 환자가 재발한다고 합니다.

 

또한 이렇게 통증만 있는 것은 아니며, 어떤 환자들의 경우 통증이나 자각증상이 없다가 건강검진을 받고, 이상이 있는 것을 발견하는 경우도 있으며, 다른 증상 없이 혈뇨 현상만 나타나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무언가 몸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느낀다면 스스로 괜찮다 생각하지 말고, 병원으로 가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요로결석 예방하려면


요로결석은 한번 발생하면 다시는 겪고 싶지 않을 만큼의 고통이 따라오기 때문에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분섭취

요로결석을 예방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물을 많이 마시는 것입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게 되면, 체내에 쌓여 있는 염분과 노폐물등이 소변을 통해서 걸러지게 되면서 요로결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단, 물을 한 번에 너무 많이 마시면 물중독이나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이 마시는 것보다는 한 컵 씩 나눠서 자주 마시는 것이 좋으며, 하루에 권장량은 2.5~3L 정도입니다. 200ml 종이컵으로 10~15잔 정도를 나눠마시는 것이 좋으며, 텀블러나 물통등에 물을 넣어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싱겁게 먹기

소변 속에 나트륨이 쌓이게 되면, 배출하는 과정에서 칼슘도 함께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칼슘이 요로에 쌓이면서 요로결석이 됩니다. 그래서 평상시에 염분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는 국물이나 찌개를 먹는 습관이 있다 보니 다른 나라에 비해서 짜게 먹는 식습관을 가지고 있는데요. 국이나 찌개를 먹을 때, 국물보다는 건더기 위주로 먹는 것이 좋으며, 밥을 말아서 먹는 것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