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은 남성에게 중요한 기관인데요. 살면서 한 번쯤은 전립선 질환을 겪을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노화로 인해 전립선 질환을 겪게 되는데요. 소변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거나 수면 중 소변이 마려워 잠에서 깨기도 하는 등의 배뇨 부분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런 증상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전립선 비대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은 소변의 통로인 요도 주변의 전립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소변의 배출을 막거나, 배뇨현상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전립선 비대증의 주된 원인은 노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원인
전립선 비대증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노화로 인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50대에 50%, 60대에 60%, 60대에 70%의 발병률을 보인다고 말할 정도로 많은 남성들이 노화로 인해서 전립선 비대증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노화로 인한 전립선 비대증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젊은 30~40대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이로써 전립선 비대증의 원인이 노화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하루하루 바쁘게 살아가다 보니 불규칙한 생활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흡연, 음주 등도 전립선 비대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증상
전립선 비대증의 증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소변줄기가 가늘어지는 세뇨현상
2. 소변이 자주 마려운 빈뇨현상
3. 소변을 보고도 시원하지 않은 잔뇨현상
4. 화장실을 가기 전에 소변이 나오는 급뇨현상
5. 수면 중 소변을 보기 위해 2번 이상 일어나는 야뇨증
6. 소변을 보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배뇨지연
7. 소변에 피가 묻어나는 혈뇨현상
8. 본인도 모르는 사이 소변이 새는 요실금 현상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며 처음에는 가볍게 여길 수 있는데요. 그런데 방치할 경우 생활의 질이 나빠지는 것은 물론이고, 치료시기를 놓쳐 방치하게 되면, 급성요폐, 요로감염, 요로결석등이 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심할 경우 신장이 망가져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는 전립성이 비대해졌다고 모두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닌데요. 만약 증상이 아주 심한 것이 아니라면 대기요법을 통해 환자 본인의 실생활을 통해서 개선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좌욕, 수분섭취, 식이요법, 가벼운 운동 등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데요. 런지나 스쿼트가 전립선 비대증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탄수화물, 섬유질, 채소, 과일 등의 섭취를 늘리고, 콩이나 두부 등 단백질 함량이 높은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으로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약물치료나 수술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
약물치료는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수술치료에 대한 위험이 높은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를 할 수 있는데요. 약물치료만으로도 70~80% 정도는 호전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사람에 따라서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복용이 필요하며, 고혈압약처럼 평생 약을 먹으면서 조절을 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
수술치료 중 요즘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전립선 견찰술이라고 해서 비대해진 전립선을 특수재질로 만든 결찰사를 이용해 좁아진 요도길을 정상적으로 확보해 주는 시술이 있습니다. 전립선 견찰술의 장점은 국소마취로 진행되며, 전립선을 절제하지 않아 신체적인 부담이 적어 당일 퇴원이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다는 특징이 있다고 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립선 절제술이 있는데요. 말 그대로 비대해진 전립선을 절제해서 요도 부위의 공간을 확보해 주는 방법입니다. 그렇지만 전신마취나 척추마취를 통해 입원을 해야 하며, 요실금, 출혈등의 부작용을 동반할 수 있지만, 약물치료나 견찰술로 치료가 어려울 경우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