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발목 인대 늘어났을때 치료방법

by 뮤디스토리 2021. 8. 31.
반응형

발목은 우리 신체의 무게를 지탱하며, 가장 많은 부하를 받는 신체 부위 중 한 곳이다 보니 일상생활 중 조금만 방심을 하게 돼도 발목을 접질리는 부상을 당하게 되는데요. 보통 가볍게 접질리는 경우에는 당장 병원을 가야 할 만큼 심각한 부상은 아니라 생각되어 병원을 가지 않는데요.

그렇지만 발목이 접질린 이후에 발복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부어오른다면 인대의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요. 만약 이 상태에서 별도의 조치 없이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제대로 낫지 않은 발목을 계속 접질리게 되거나 2차적인 발목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는 만큼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발목을 접질렸을 때 증상과 대처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발목 인대가 늘어나는 원인

보통 발목을 접질리게 되면, 발목 인대가 손상을 입게 되는데요. 하지만 이렇게 강한 충격으로 인해 손상을 입기도 하지만, 서서히 손상이 되다가 어느 순간 강한 힘에 의해 인대가 손상을 입게 되는데요. 인대가 늘어나는 원인을 알려면 인대가 어떤 것인지 알아둘 필요가 있어요.

우선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해 주는 섬유성 조직으로 관절이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며,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는 선에서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고무줄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보통 인대가 다치게 되면, 늘어났다는 표현을 쓰는데요. 인대는 고무줄과 비슷해서 무리하게 사용할수록 손상이 가다가 한계점을 넘으면 조금씩 균열이 가게 되는데요. 그래서 늘어났다는 표현보다는 찢어졌다는 것이 더 구체적인 표현입니다.

  발목 인대가 늘어났을 때 증상  

발목 인대가 늘어나게 되면, 발목 통증을 유발하며, 열감과 함께 손상 부위가 빨갛게 붓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는 발목 인대의 손상 정도에 따라서 증상이 조금씩 차이를 보이는데, 보통 가볍게 접질린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치유가 됩니다.

그렇지만 손상의 정도가 심하다면 병원을 내원해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은데요. 발목을 접질린 이후 계속해서 통증이 있거나 발목을 디뎠을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초기에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목 인대가 늘어났을 때 치료방법  

발목에 여러 가지 이유로 압박이 가해지게 되면, 작게는 염좌에서 크게는 발목 인대 파열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발목을 다쳤을 때는 초기에 치료를 잘해줘야 후에 재발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의 경우에는 많이 사용하고, 많은 무게를 지탱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쳐 방치를 하게 되면, 습관적으로 발목을 접질리기도 하고, 인대가 손상을 입기도 합니다.

그래서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내원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해주는 것이 좋으며, 병원을 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냉찜질을 통해서 붓기를 빼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20분이 넘지 않는 선에서 마무리를 해주시고, 부기가 가라앉으면 온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으며, 파스를 이용해서 통증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발목의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기 위해 압박붕대를 이용해 테이핑 하거나 깊으나 발목 보호대를 이용하여 발목이 받는 부하를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재발방지를 위해  

발목 인대는 한번 다치게 되면, 완치 후에도 해당 부위가 약해져있어서 재발의 확률이 높은데요. 특히 발목 인대를 계속 다치게 되면, 후에는 수술치료를 해야 되는 상황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완치를 하고 난 뒤에는 무리한 운동보다는 가벼운 운동으로 발목을 강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발목 스트레칭을 통해서 근육을 유연하게 만들어주면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완벽히 완치가 되지 않았다면 보호대를 이용해서 발목으로 가는 부하를 줄여주시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